맨눈으로 ‘목성의 고리’를 확인한 남자

By 이 충민

동양에서는 옛부터 멀리 있는 장소를 볼 수 있는 ‘요시(遙視)’라는 초능력에 대해 언급해 왔다. 서양에서도 그리스 시대부터 이미 이 초능력에 대해 언급되어 왔으며 현대에는 ‘원격투시(리모트 뷰잉)’이라고 부른다.

‘원격투시’ 능력을 갖춘 사람은 그가 직접 가보지 못한 장소의 경치나 사건을 정확히 묘사할 수 있다.

1960년대 미국 SRI 연구소가 이 초능력을 실험으로 증명한 바 있다. 초능력 소유자들을 특정 장소에 모아놓고 매 사람에게다 몇 명의 카메라맨을 배치했다. 이 카메라맨들은 미국 각지에 파견됐고 어떤 이는 해외까지 파견됐다.

이후 초능력자들에게 어떤 특정 시간에 자신에게 배치된 카메라맨의 주위 환경이나 사건을 묘사하도록 했다. 그 결과 어떤 원격투시능력 소유자들의 묘사는 놀랄 정도로 실제 상황과 같았다.

잉고 스완이 리모트 뷰잉으로 그린 이미지와 실체 사진 비교(Ingo Swann)

원격투시의 대표적인 인물은 CIA로부터 연구 자금을 지원받기도 했던 잉고 스완(Ingo Swann)이다. 그가 원격투시를 통해 본 것 중 가장 논란이 심했던 대상이 바로 ‘목성의 고리’다.

1973년 과학자들이 우주탐사에 앞서 그에게 원격투시를 해줄 것을 의뢰했는데 당시 그는 자신이 관측한 결과에 따르면 목성에는 토성처럼 고리가 존재한다고 말했다. 그의 말은 곧 학계에서 큰 논쟁거리가 됐는데 1977년 보이저호가 목성에 접근해 고리가 있음을 확인할 때까지 계속됐다.

‘목성의 고리’ 사건 이후 잉고 스완의 능력을 인정한 미국 정부에서는 좀 더 체계적인 연구를 위해 CIA의 지원 아래 클리브 벡스터라는 과학자와 함께 여러가지 연구를 시작한다.

클리브 벡스터는 식물이 인간처럼 사고할 수 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낸 인물로 알려져 있다.

당시 잉고 스완이 그린 목성의 고리 설명도(Ingo Swann)

당시 자료에 따르면 잉고 스완은 수km 떨어진 곳에서 테니스를 치는 사람들의 움직임을 정확히 판별할 수 있었고 이후 지속적인 결과물을 도출해 원격투시의 과학적 해석에 매달렸다. 왜냐하면 지금이나 당시나 이런 것들을 사기라고 믿는 사람들이 훨씬 더 많았기 때문이다.

잉고 스완의 따르면 실제 원격투시는 원거리에 떨어진 것을 눈으로 보는 것이 아닌 세상의 모든 정보가 기록된 우주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해 정보를 획득한다고 한다.

당시는 냉전시대였기 때문에 잉고 스완 및 원격투시가 가능한 몇몇 초능력자들로 편성된 특수부대가 창설됐고 이 특수부대 계획을 ‘스타게이트(Star Gate)’ 프로젝트라고 불렸다. 이 특수 부대는 미공군 소속으로 시작됐다가 1990년 다시 CIA로 편입됐고 1995년에서야 정식 해체됐다.

이 부대의 활동사항이나 결과물에 대한 보고는 비밀에 부쳐졌지만 미국 정부가 원격투시라는 능력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이를 발전시키려는 노력이 존재했다는 것은 사실이다.